The Economy 전문분석 기사 담당

전문분석 담당 연구원

본사 GIAI에서 운영하는 The Economy와 제휴해 한국어 전문분석 기사를 작성합니다.

한국어 → 영어, 또는 영어 → 한국어 방향의 콘텐츠 제휴가 진행되며 (현재 챗GPT 유료 버전 활용 중), 600단어(약 2천자) 이상의 전문분석 내용을 담은 기사 작성을 담당합니다.


예시


입사 시험 방식

  1. 1단계:
    채용 공고에 지정된 내부 가이드 (이하 Talking Point)에 맞춰 작성한 기사를 이메일로 제출
  2. 2단계:
    전용 읽기 자료 검토 후 커뮤니티 퀴즈에서 80점 이상 획득 (외부인은 Google로 로그인)
  3. 3단계:
    내부 기준에 맞춰 1단계 과제의 업그레이드 버전 제출

💡 1단계 과제가 우수한 경우 3단계는 생략 또는 간소화됩니다.


주의사항
  • 경제학·재무학·회계학·사회과학 전반에 대한 대학 학부 수준 지식이 필수입니다.
    → 아래 학술적 지식 예시 참고
  • 연구 보고서가 아닌 기사체 문장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보도자료 작성법 참조)
  • AI가 전적으로 작성한 기사는 심사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인간이 작성한 문장과 LLM이 작성한 문장 간의 격차가 큰 만큼, 인간이 작성하지 않은 기사는 심사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당사의 주요 서비스가 AI 제품인만큼, 내부적으로 이미 상당한 수준의 AI 기사 작성이 가능합니다만, 문장, 문단, 글 전체의 구성 차원에서 인간이 작성한 것과 상당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본 채용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사 작성 중 LLM을 쓰는 것은 무방합니다만, 최종 결과물은 인간이 손을 대야한다는 것이 당사의 철학입니다.


학술적인 지식 예시

경제학:
편의점 업계에서 경쟁이 격화되었다는 주장이 나오는 가운데, 출점 점포수를 기준으로 계산한 HHI 값은 증가한 반면, 매출액을 기준으로 계산한 HHI 값은 낮아졌다. 이 때 작년과 올해 사이의 매출액 차이만으로 HHI 값을 계산하면 재작년과 작년 사이의 HHI 값과 비교했을 때 증감 유무를 예측하라. 앞의 논의를 바탕으로 실제로 경쟁이 격화되었는지, 무리하게 점포를 늘리고 있는 과당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논지를 펴라.

현재의 시장 상황을 Cournot competition vs. Bertrand competition의 관점에서 설명하고, 편의점 업계의 특성을 감안할 때, 향후 어떤 종류의 경쟁이 나타날지에 대해서 논하라.

재무학:
EV/EBITDA와 P/E를 설명하고, EV/E 또는 P/EBITDA를 쓰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라. EV/EBITDA와 P/E 비율이 같아질 수 있는 조건은? 어떤 산업군의 기업들에서 두 비율이 같아질 가능성이 높은가?

회계학:
감가상각이 10 만큼 줄었을 때,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현금흐름표에서 바뀌는 항목과 바뀌는 값은? (단, 한계세율은 20%로 정한다) 한 기업이 감가상각법을 조정해 올해 감가상각을 크게 늘렸다. 예상가능한 기업 내부의 속사정과 이유를 설명하라.

국제정치학: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한 미국 내의 반발을 활용해 미국에서 요구하는 대미 투자액을 줄이자는 외교부의 의견이 나왔다. 어떤 정책 수단을 동원할 수 있고, 각 수단에 대한 미국 내의 반응은 어떻게 될까? 자유주의 vs. 현실주의 관점에서 마스가(MASGA)를 이용한 관세 부담 경감 정책은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

사회학:
네팔, 인도네시아에서 거리 시위로 정치권의 권력층이 교체되는 사건이 일어났다. 틱톡,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의 SNS를 통해 정보가 빠르게 확산된 것이 주원인이라는 주장이 나오는 가운데, 전통적인 사회학에서 '민주주의의 경제지대'의 기준으로 삼았던 국민소득(GNI) 1만달러 기준을 조정해야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1980년대 전후로 민주화를 겪은 한국, 대만과 달리 네팔, 인도네시아에서 SNS 이외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는 사회적 도구는 무엇이고, 1만 달러 기준이 어떻게 영향을 받았을까?

*주요 LLM 서비스에서 정답을 제시하는 것을 확인한 질문들입니다. 평소 업무에서 유사한 방식으로 학술적 이해를 현실 상황 이해에 응용하는 일이 반복되는 만큼, LLM 이상의 논리적 사고력을 갖출 수 있는 인력을 찾습니다


요건

당사는 모든 전문분석 기사를 600단어(약 2천자) 이상으로 운영 중입니다.

Discard
Save

On this page

Review Changes ← Back to Content
Message Status Space Raised By Last update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