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conomy 입사시험 관련 정보
당사에서 운영 중인 하기의 언론사들에 대한 입사 시험 문제들을 외부에 공개합니다.
운영 중인 언론사
업무 포지션
번역 담당 연구원
본사(GIAI)에서 운영하는 스위스AI연구소에서 발행하는 학술 논문, AI 메모, AI/Finance, AI/Tech, AI/Pollicy, AI/Bio 등의 주제에 대한 연구 기고 중 일부를 한국 시장 상황에 맞게 번역하는 업무입니다.
전문분석 담당 연구원
본사(GIAI)에서 운영하는 The Economy와 제휴해 제공되는 한국어 전문분석 기사들로, 한국어 -> 영어, 혹은 영어 -> 한국어 (챗GPT 유료 버전 활용 중)로 콘텐츠 제휴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일반 기사가 아니라, 600단어 (약 2천자) 이상의 전문분석 내용이 담긴 분석 기사를 작성하는 업무인만큼, 경제지 전문분석 기사를 쓸 수 있는 전문성을 요구합니다.
총평
국내에서 흔히 접하는 일반적인 언론사가 아니라, AI/Finance 연구소에서 출발한 조직이 AI전문 연구 영역(SIAI)과 Finance 전문 연구 영역(The Economy Research)으로 연구소 브랜드를 분리하고, 경제 연구소 홍보 차원에서 운영하는 연구 기관 산하의 전문지입니다.
전문지 특성에 맞춘 콘텐츠 위주로 운영되는만큼, 논조와 전문성을 유지, 발전시킬 수 있는 인력을 뽑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The Economy 입사시험 관련 정보
keithkhl edited 1 second ago당사에서 운영 중인 하기의 언론사들에 대한 입사 시험 문제들을 외부에 공개합니다.
운영 중인 언론사
업무 포지션
번역 담당 연구원
본사(GIAI)에서 운영하는 스위스AI연구소에서 발행하는 학술 논문, AI 메모, AI/Finance, AI/Tech, AI/Pollicy, AI/Bio 등의 주제에 대한 연구 기고 중 일부를 한국 시장 상황에 맞게 번역하는 업무입니다.
예시
- AI MEMO - AI 에이전트, 가정이 교실보다 먼저 배우는 시대
- 딥파이낸셜 - 세금 엑소더스, 신뢰를 잃은 국가의 탈출전
- 딥테크 - 틱톡 매각, 학생들의 온라인 세계를 바꾼다
- 딥폴리시 - 교실에서 시작되는 결속, 이민 국가 호주의 다음 과제
입사 시험 방식
- 1단계: SIAI Research의 연구 기고와 유사한 수준의 외부 기고 글 예시 중 1개에 대해서 번역한 내용을 이메일로 제출 (심사 대상 번역물 예시 참조)
- 2단계: 업무 담당자 전용 읽기 자료를 읽은 후, 커뮤니티 퀴즈에서 80점 이상을 획득
- 3단계: 2단계에서 확인한 내부 기준에 맞춰 1단계 과제의 업그레이드 판을 제출
*1단계 과제 제출물이 우수한 경우는 3단계를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 챗GPT, 제미니 등의 주요 LLM 서비스들의 번역 결과물이 상당히 좋은만큼, 단순히 단어 대 단어 번역만 된 결과물은 불합격 처리됩니다.
- 한국어 문화권의 일반 독자들이 읽기 쉽게 내용을 풀어내고, 문장력 및 배경 지식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어야 하는 업무인만큼, 내용 이해도 및 문장력을 중점적으로 봅니다.
- 2025년 11월 기준: 현재 담당 인력 2인은 모두 해외 거주 중인 한국인으로, 아래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분들입니다
심사 대상 번역물 예시
아래의 저널은 당사에서 2022년 10월부터 2025년 9월까지 콘텐츠 제휴 및 협업을 진행했던 기관들입니다
- VoxEU: CEPR 산하의 경제학 언구자들 기고 서비스
- East Asia Forum: 호주 국립대(ANU) 산하의 공공정책 대학원에서 운영 중인 아시아-태평양 전문 연구 기고 서비스
- Scientific American: Nature지 산하의 과학전문지
아래는 협업 진행 중 공유된 기사 및 번역 예시입니다
요건
- 출처: 다음뉴스 언론사 채널 입점 가이드
- 해당하는 분야와 관련해, 직업을 위한 자격의 취득과 박탈이 법으로 규정되어 있는 면허를(전문)를 소지하고 있는 기자
- 예시) 변호사, 공인회계사, 약사, 의료인 등
- 해당하는 분야와 관련한 박사학위를 보유하고 있는 기자
반드시 위의 요건을 충족시켜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만, 2022년부터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했을 때, 유사한 수준의 경험치가 누적되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에 기사화 할 수 있는 문서를 작성하질 못했었습니다.
전문분석 담당 연구원
본사(GIAI)에서 운영하는 The Economy와 제휴해 제공되는 한국어 전문분석 기사들로, 한국어 -> 영어, 혹은 영어 -> 한국어 (챗GPT 유료 버전 활용 중)로 콘텐츠 제휴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일반 기사가 아니라, 600단어 (약 2천자) 이상의 전문분석 내용이 담긴 분석 기사를 작성하는 업무인만큼, 경제지 전문분석 기사를 쓸 수 있는 전문성을 요구합니다.
예시
- 생산성 진단 '저생산의 덫'에 빠진 韓 경제, 자본은 떠나고 성장은 멈췄다
- 생산성 진단 - 회의·보고·야근의 나라 한국, ‘일하는 척’이 불러온 경제 위기
- 尹 정부의 국유재산 '헐값 매각' 정책 비판하는 與, 시장 "근본적 원인은 文 정부가 제공"
입사 시험 방식
- 1단계: 채용 공고에 지정된 내부 가이드 (이하 Talking Point)에 맞춰 작성한 기사를 이메일로 제출
- 2단계: 업무 담당자 전용 읽기 자료를 읽은 후, 커뮤니티 퀴즈에서 80점 이상을 획득
- 3단계: 2단계에서 확인한 내부 기준에 맞춰 1단계 과제의 업그레이드 판을 제출
*1단계 과제 제출물이 우수한 경우는 3단계를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 경제 현상에 대한 제반 이해가 필수적인 업무로, 경제학, 재무학, 회계학 및 사회과학 전반에 대한 대학 학부 수준의 지식이 필수적으로 요구됩니다. 상세 사항은 아래의 학술적인 지식 예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연구 보고서가 아니라 기사로 서비스되는만큼, 기사체 문장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보도자료 작성법 참조)
- 인간이 작성한 문장과 LLM이 작성한 문장 간의 격차가 큰 만큼, 인간이 작성하지 않은 기사는 심사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당사의 주요 서비스가 AI 제품인만큼, 내부적으로 이미 상당한 수준의 AI 기사 작성이 가능합니다만, 문장, 문단, 글 전체의 구성 차원에서 인간이 작성한 것과 상당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본 채용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사 작성 중 LLM을 쓰는 것은 무방합니다만, 최종 결과물은 인간이 손을 대야한다는 것이 당사의 철학입니다.
학술적인 지식 예시
- 경제학: 편의점 업계에서 경쟁이 격화되었다는 주장이 나오는 가운데, 출점 점포수를 기준으로 계산한 HHI 값은 증가한 반면, 매출액을 기준으로 계산한 HHI 값은 낮아졌다. 이 때 작년과 올해 사이의 매출액 차이만으로 HHI 값을 계산하면 재작년과 작년 사이의 HHI 값과 비교했을 때 증감 유무를 예측하라. 앞의 논의를 바탕으로 실제로 경쟁이 격화되었는지, 무리하게 점포를 늘리고 있는 과당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논지를 펴라.
- 재무학: EV/EBITDA와 P/E를 설명하고, EV/E 또는 P/EBITDA를 쓰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라. EV/EBITDA와 P/E 비율이 같아질 수 있는 조건은? 어떤 산업군의 기업들에서 두 비율이 같아질 가능성이 높은가?
- 회계학: 감가상각이 10 만큼 줄었을 때,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현금흐름표에서 바뀌는 항목과 바뀌는 값은? (단, 한계세율은 20%로 정한다) 한 기업이 감가상각법을 조정해 올해 감가상각을 크게 늘렸다. 예상가능한 기업 내부의 속사정과 이유를 설명하라.
- 국제정치학: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한 미국 내의 반발을 활용해 미국에서 요구하는 대미 투자액을 줄이자는 외교부의 의견이 나왔다. 어떤 정책 수단을 동원할 수 있고, 각 수단에 대한 미국 내의 반응은 어떻게 될까? 자유주의 vs. 현실주의 관점에서 마스가(MASGA)를 이용한 관세 부담 경감 정책은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
- 사회학: 네팔, 인도네시아에서 거리 시위로 정치권의 권력층이 교체되는 사건이 일어났다. 틱톡,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의 SNS를 통해 정보가 빠르게 확산된 것이 주원인이라는 주장이 나오는 가운데, 전통적인 사회학에서 '민주주의의 경제지대'의 기준으로 삼았던 국민소득(GNI) 1만달러 기준을 조정해야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1980년대 전후로 민주화를 겪은 한국, 대만과 달리 네팔, 인도네시아에서 SNS 이외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는 사회적 도구는 무엇이고, 1만 달러 기준이 어떻게 영향을 받았을까?
요건
- 출처: 다음뉴스 언론사 채널 입점 가이드
- 전체기사 중 아래 기사의 비중을 모두 충족하는 매체
- 전체기사 중 1,500자 이상의 기사가 50% 이상
- 전체기사 중 2,000자 이상의 기사가 30% 이상
당사는 모든 전문분석 기사를 600단어 (2천자) 이상으로 운영 중입니다.
총평
국내에서 흔히 접하는 일반적인 언론사가 아니라, AI/Finance 연구소에서 출발한 조직이 AI전문 연구 영역(SIAI)과 Finance 전문 연구 영역(The Economy Research)으로 연구소 브랜드를 분리하고, 경제 연구소 홍보 차원에서 운영하는 연구 기관 산하의 전문지입니다.
전문지 특성에 맞춘 콘텐츠 위주로 운영되는만큼, 논조와 전문성을 유지, 발전시킬 수 있는 인력을 뽑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